목차
1. 전반적인 절세 자산관리팁 : 비주택과 주택 전체
1) 종소세 신고도움서비스 분석은 필수 : 면세사업장현황신고가 중요한 이유
2) 임대소득 가액에 따른 최소경비율은? : 대출이자가 높다면 무조건 필요경비 활용하자
3) 국세청의 ‘모두채움서비스’를 무조건 믿지 말자
4) 임대사업자의 경비 부인 요소들 체크포인트 : 부동산 임대사업의 불리한 점?
5) 감가상각비를 잡으시겠다구요?!
6) 타소득과는 합산신고가 필수.
7) 공동소유자는 공동사업자 신고를 꼭!
8) 모르는 세금은 어디에 물어보면 좋을까?
2. 주택 임대소득 신고 시 체크포인트
1) 총수입금액 2천만원 미만이라면 주택 임대소득 신고 선택할 수 있다.
2) 주택수가 많으면 간주임대료를 체크하자.
3) 구청의 임대사업자등록, 하는 것이 좋을까?
4) 상속받을 때 주택 임대사업을 승계받는 것이 좋을까?
5) 단기임대주택이 부활된다는데 정말 좋을까?
6) 상생임대주택 활용해 양도소득세 비과세도 받을 수 있을까?
3. 종소세 부담이 크다면 법인으로 운영해볼까?
1) 법인으로 주택 임대는 무조건 독이다.
2) 법인으로 비주택 임대는 분산효과를 가져갈 수 있다.
3) 법인을 응용한 절세컨설팅 기법 하나를 배워보자
단원 |
강의명 |
강의시간 |
자료 |
샘플보기 |
1강 |
1강 :종소세 전반적인 절세 자산관리팁 : 비주택과 주택 전체 |
59분 |
|
|
2강 |
2강 :주택 임대소득 신고 시 체크포인트 |
62분 |
|
|
3강 |
3강 :종소세 부담이 크다면 법인으로 운영해볼까? |
63분 |
|
|